육아정보

충동적인 아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5가지 방법

에듀키즈 2022. 9. 18. 00:54

아이들의 문제 행동의 요인 중 하나가 순간적인 감정 조절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요. 충동적인 6살짜리 아이는 자기가 원하는 대로 행동하지 못할 때 사물이나 누군가를 때릴 수 있고, 충동적인 16살짜리 아이는 자신의 행동으로 인한 악영향과 상황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SNS에 부적절한 내용을 공유할 수 있어요.

 

부모 혹은 어떤 누군가의 적절한 개입이 없으면 아이들의 충동적인 행동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 악화될 수 있어요. 하지만 부모님이 아이에게 직접 순간적인, 충동적인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아이 스스로 순간적인 감정이나 기분, 충동을 조절할수록 도와줄 수 있어요!

 

감정조절이 힘든 아이, 순간적으로 화를 내는 아이, 물건을 던지는 아이
Photo by Allen Taylor on Unsplash

1. 아이들에게 감정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들은 충동적일 확률이 더 높아요. "나 지금 화났어!"라고 말할 수 없는 아이는 자신이 화났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폭력적 행동을 보일 수 있어요. 또는 "나 너무 슬퍼요."라는 말을 할 수 없는 아이는 바닥에 몸을 던지고 비명을 지르죠. 아이가 분노, 슬픔 같은 감정을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인식하고 말로 표현할 수 있게 가르쳐주세요. 그리고 아이에게 화내는 것은 괜찮지만 사물이나 사람 등을 때리는 것은 안 된다, 난동을 피우면 안 된다라고 언어적 감정 표현과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 어떻게 다른지 얘기해주세요.

 

2. 아이가 지시를 반복해서 얘기할 수 있게 해주세요.

   때때로 아이들은 부모님의 지시를 듣지 않기 때문에 충동적으로 행동하곤 해요. 부모님의 지시사항을 전부 듣기도 전에, 아이들은 무슨 말을 했는지도 모르고 무조건 마구 뛰어다니죠. 아이에게 무언가를 지시한 후, 아이가 마음대로 돌아다니기 전에 "엄마/아빠가 방금 뭐라고 했지?"라고 물어보세요. 그리고 부모님이 지시한 사항을 따라서 말하게 하면서 부모님 말에 귀 기울이고 숙지할 수 있도록 가르치세요. 예를 들어 부모님이 숙제를 다 하고 TV를 보기로 하자, 방 청소 끝내고 놀자 라는 식으로 무언가 지시했을 때 아이가 그 내용을 부모님에게 똑같이 말하고, 그대로 행동할 수 있도록이요. 부모님이 먼저 "○○하기 전에, ○○해줬으면 좋겠어."라고 말하면서 지시사항에 대해서 얘기하고 설명해주세요.

 

 

3. 항상 일관성 있게 유지해주세요.

   "도서관에서 조용히 얘기하고, 뛰어다니지 말 것"이라고 규칙을 정했다면, 도서관에 갈 때마다 항상 얘기해주세요. 그 규칙을 유지하고 반복하면, 아이는 규칙을 지키는 것과 규칙을 어겼을 때의 결과에 익숙해질 거예요. 또한, 가능하다면 아이들의 일상생활을 일관성 있게 유지해주세요. 아이들에게 발생하는 돌발 상황이나 혼란이 적어지면 충동적인 행동을 줄일 수 있어요. 특히 할머니, 할아버지를 만났을 때 일관성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많은데, 미리 조부모님에게 양해를 구하고 지금 교육 중임을 알려주세요. 

 

4. 부모는 거울, 아이 앞에서 모범적인 모습을 보여주세요. 솔선수범!

   아이는 부모님을 보면서 순간적인 감정을 조절하는 것을 배울 거예요. 무조건 아이에게 이렇게 하는 거야라고 지시만 내리면 아이들은 그 말을 듣기 싫어할 수 있어요.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부모가 행동으로 보여주고 지시가 아니라 대화를 하세요. 예를 들면, 장을 볼 때도 미리 구매할 것을 적어 아이에게 보여주고 엄마에게 알려달라고 할 수 있어요. 평소에 "엄마도 사고 싶은 물건이 있는데 쇼핑앱 장바구니에 넣고 다른 물건과 비교하고 있어, 이 물건이 정말 필요한지 엄마도 더 고민해봐야겠는데"라고 대화를 할 수도 있어요. 

 

 

5. 아이가 활발하게 신체 활동을 하게 해 주세요.

   아이가 밖에서 뛰어놀거나 운동을 많이 할 수 있게 해 주세요. 뛰고, 점프하고, 몸을 많이 움직일 기회를 갖게 된 아이는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순간적인 감정을 컨트롤하는 능력을 갖게 될 거예요. 아이가 TV나 핸드폰을 보는 시간을 제한하고 가능할 때마다 밖에서 놀게 격려해주세요. 부모님과 야외에서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공을 던지고, 술래잡기를 하는 것도 에너지 소모에도 좋아요.